* Nested class - class안에 class를 정의

* Inner class는 Outer class의 모든 member에 접근(private에도 접근 가능)

class Outer{
      private int a;

class Inner{                -> inner class
      public void go(){

system.out.println(a);

}

}

}

* class Block에 정의

1. static inner class -> Outer class의 static 멤버만 접근가능
2. non-static inner class -> Outer class의 static/instance 멤버 모두 접근 가능

class A{

class Inner1{}

static class Inner2{}

}

* method Block 내에 정의 -> Outer class의 static/instance 멤버 모두 접근 가능
                                    -> 같은 메소드에 선언된 final local 변수에 접근 가능

*

class Outer{

int k=30;
public void go{
    final  int j =20;

class Inner{

system.out.println(j);//로컬 변수는 메소드 선언하고 메소드가 끝날때 사라지고 class는 프로그램 끝날 때까지 살아 있어서 접근이 불가능 하다. 하지만 j를 final로 바꾸면 힙영역에 저장되므로 class 내에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

}

}

* Nested class 객체 생성

익명(Anoymous)
Inner class(구현) -> 객체 생성과 정의를 동시에 하는 class

구문 :

new Super(){ <-부모 class(interface type)

->class 구현 - 1. 변수, 2. 메소드

}

Posted by 조은성
,

 

 

 

* 결과

 

 

 

Posted by 조은성
,

 

 

 

Posted by 조은성
,

 

 

Posted by 조은성
,

* 자원 : 외부에 있는 것을 내 프로그램에서 가져다 쓸 값(ex : "안녕"을 내 java파일에서 사용함)

 

 

 

 

 

 

 

 

 

 

 

 

* AndroidManifest.xml : 앱에 대한 전역적 설정(web application에서 web.xml과 같은 역할)

 - App 구성하는 컴포넌트들 등록
- 각종 권한 : app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h/w에 대한 사용 요청을 system에 한다.(ex : 카메라, network, internet..)


 

Posted by 조은성
,

1. AndroidFirst

프로젝트 생성
가장 중요한 정보는 역시 프로젝트 이름이다. 입력하는 이름은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폴더명으로 사용되며, 패키지 탐색기에 표시되기도 한다.
Contents란은 새로 프로젝트를 만들 것인지, 아니면 이미 만들어 놓은 소스로부터 프로젝트를 생성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Build Target은 어떤 버전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를 지정하는데, 설치된 SDK의 종류에 따라 지원 가능한 목록이 달라진다.
Properties

 

 

Posted by 조은성
,

* 폰으로 애뮬레이터 실행하기

 

 

 

 

 

 

* 이렇게 설정 후 안드로이드 폰을 usb에 연결하고 run시키면 핸드폰에 뜬다.

Posted by 조은성
,

* 안드로이드 app( 4가지 구성요소)

1. Activity : 화면 기반으로 동작(UI + 화면을 터치하면 동작이 일어남) - 사용자와 상호작용(interection)

2. Service : 화면 없이 동작(background 작업) - 알림(ex : 카톡이 오면 카톡이 왔다고 알려줌.,mp3 : 음악을 켜두고 다른 일을 할 수 있음)

3. Broadcast Receiver(방송수신자) :  system이나 다른 app이 하는 방송을 수신.

4. Content Provider(컨텐트 제공자) : app이 가진 Data들을 다른 component에 제공하는 컴포넌트) - (ex : 주소록 - 전화) 전화번호는 주소록에 있어서 전화를 걸 시에 전화 app에서 주소록app에게 주소록을 달라고 요청해야 한다.

* 주소록의 content Provider를 만들어 두면 전화기능에서 주소록의 content Provider를 가져다가 쓰면 전화기능에서 주소록을 가져다가 쓸 수 있게 된다. content Provider는 DB를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

 

 

Posted by 조은성
,

 

 

 

 

 

 

 

 

 

 

 

 

 

 

 

 

 

 

 

Posted by 조은성
,

 

HangulKeyboard.apk

 * 버츄얼 디바이스가 켜진 상태에서 따라하기

 

 

 

 

 

 

-------

 

 

 

 

 

 

 

 

 

 

 

'프로그래밍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app( 4가지 구성요소)  (0) 2012.07.13
Helloworld 만들기[실습] - 안드로이드  (0) 2012.07.12
안드로이드의 등장  (0) 2012.07.12
안드로이드의 역사  (0) 2012.07.12
안드로이드 시작하기  (0) 2012.07.12
Posted by 조은성
,